Chat GPT 4.0을 무료로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사이트로만 알고 계신 분들도 많은 것 같더라고요.
그래서 오늘은 뤼튼에 대해 알아보고 어떻게 업데이트했는지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뤼튼이란?
우선 뤼튼은 생성형 AI 플랫폼이며, 사용자가 쉽고 효율적이게 텍스트를 생성하고 편집할 수 있도록 설계된 서비스입니다.
복잡한 기술 지식 없이도 누구나 접근 가능한 뤼튼은 창의적인 글쓰기와 데이터 기반의 콘텐츠 생성을 가능하게 하여, 개인 사용자부터 전문 콘텐츠 제작자까지 다양한 이들에게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한다고 합니다.
용도는 Chat gpt와 굉장히 유사한 것 같지 않나요?
Chat GPT는 매달 구독료를 지불해야 GPT 스토어를 사용할 수 있고, Chat GPT 4.0 모델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뤼튼은 무료로 사용해도 GPT 스토어와 비슷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으며 GPT 4.0 모델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 가장 큰 메리트인 것 같습니다.
뤼튼 바뀐 점
뤼튼 사이트에 들어오자마자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바로 UI, UX 개선입니다.
확실히 예전보다 사용감이 더 좋아지게끔 바뀐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신규 업데이트된 이미지를 보면 좌측에 Chat Gpt와 같이 채팅창 목록을 볼 수 있고, 이전엔 채팅, 툴, 에디터, 플러그인 4가지 탭이 존재했다면 지금은 채팅, 스튜디오, 스토어 이렇게 3가지 탭이 나오게끔 바뀌었습니다.
개인적으로 직관성이 생겨 더 좋은 것 같아요.
이전엔 다크모드를 지원하지 않아 눈에 피로감이 많았는데 이젠 다크모드도 생겼습니다.
저는 들어오자마자 다크모드로 바뀌어 있어서 업데이트 채감을 확 느꼈던 기억이 있습니다.
저녁에 어둡게 작업할 때가 많아 다크모드를 지원하는 툴이나 사이트를 좋아하는데 좋은 소식이네요!
채팅창 UI 변화는 위와 같습니다.
원래는 카카오톡과 비슷한 느낌의 대화 방식 UI를 채택해왔었는데 현재는 Chat gpt와 유사한 채팅 방식으로 바뀌었습니다.
개인적으론 말풍선만 뺀다면 위에 더 채팅하는 느낌도 들고 좋지 않았나 생각이 드네요.
참고자료 위치가 우측으로 변경되었습니다.
gpt는 참고 자료를 기본적으로 보여줄 때도 있고 안 보여 줄 때도 있고 조금 왔다 갔다 하는 편입니다. 사전에 프롬포트로 알려달라고 확실하게 이야기해야 그 뒤부터 자료 링크를 알려주는데, 뤼튼은 기본적으로 자료를 어디서 구했는지 알 수 있는 점이 가장 좋은 것 같습니다.
gpt 무료 버전에서는 2022년 1월까지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답변을 해주는 반면 뤼튼은 최신 데이터까지 쉽게 출력해 주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조만간 gpt 업데이트가 이루어진다면 해당 부분은 개선될 부분이어서
gpt 4.0 버전을 사용하고 계신 분들이라면 큰 메리트는 아니겠지만 무료로 사용하기엔 좋은 것 같습니다.
뤼튼에는 위와 같이 캐릭터를 만들 수 있는 AI 캐릭터 기능이 새로 생겼습니다.
성격과 말투를 설정하여 대화를 나눌 수 있다고 합니다.
마지막으로 스튜디오 프로입니다.
이 기능은 현재 테스터를 신청하여 선발된 사용자에게만 사용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유료로 나오게 될지 무료로 나오게 될지 잘 모르겠지만 기대가 되는 기능이네요!
바뀐 기능들을 쭉 훑어봤는데 이제 눈에 띄는 기능들 몇 가지를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프롬포트 추천 기능
뤼튼은 일반인 사용자에게 타겟을 잡고 만들어진 플랫폼입니다.
AI에서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프롬포트 퀄리티에 따라 AI 출력물 퀄리티가 천차만별입니다.
물론 여기 있는 모든 프롬포트가 퀄리티 높은 프롬프트라는 보장은 없지만, 프롬포트에 대한 지식이 없는 사용자에게 있어선 좋은 기능이라고 생각합니다.
Chat gpt를 결제해서 사용하고 계신 분들도, 프롬프트를 높은 퀄리티로 뽑으시는 분도 누구나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기능이라 생각합니다.
실제로 하나를 예로 들어 들어가 보면 프롬프트 퀄리티가 상당한 걸 볼 수 있습니다.
심지어 핵심으로 고쳐야 할 부분은 빨간색 하이라이트로 알려주기까지 합니다.
저는 Chat gpt를 결제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프롬프트 작성 능력이 뛰어나지 않아 참고용으로 많이 사용할 것 같습니다.
AI 캐릭터
AI 캐릭터는 AI에게 성격, 말투를 부여하는 기능입니다.
한번 요약천재 요약이라는 친구로 테스트를 해보겠습니다.
Chat gpt 나무위키 내용을 복사해서 가져와봤습니다.
저렇게 길게 쓴 글을 요약이라는 친구가 아주 짧게 한 줄, 세줄, 주제별 요약을 해주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말투에서도 보면 대화형 느낌보다 문서 같은 느낌의 말투로 바뀐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처럼 유용한 AI 캐릭터도 있으며, 재미를 위한 AI 캐릭터들도 있으니 한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마지막으로 뤼튼 스토어 기능입니다.
여기는 Chat gpt 스토어와 비슷한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미지 생성과 같은 고급 기능은 제공하지 않은 점은 살짝 아쉬운 것 같습니다.
SEO 블로그 포스팅 생성기를 테스트로 작성해 봤습니다.
핸드폰 관리 방법에 대해 소개하기 위해 간단한 정보를 입력해 주면 위와 같이 짧게 요약한 글처럼 알려줍니다.
저 출력물 자체를 글로 작성하기엔 무리가 있지만 포스팅하기 전에 어떤 식으로 글을 쓰면 좋을지 서치 하는 느낌으로 해보면 좋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